토론토지역 부동산협회(TRREB: Toronto Regional Real Estate Board)의 “2025 Market Outlook and Year in Review” 리포트를 요약한 내용입니다.
“2025년 광역토론토지역(GTA) 주택시장은 금리 인하와 그 동안 억눌렸던 주택 구매 수요에 힘입어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. 그러나 미국과의 무역 분쟁 가능성, 노동시장에 대한 우려 등 경제적 불확실성이 시장 회복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.”
1. 주택 거래 및 시장 활동
• 2025년 예상 주택 거래량: 76,000건 (2024년 67,609건 대비 12.4% 증가)
• 금리 인하로 인해 주택 구매자들이 시장에 복귀할 것으로 예상되며, 특히 2025년 하반기에 주택 구매력이 개선됨에 따라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
• 그러나 무역 갈등 및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일부 구매자들, 특히 생애 첫 주택 구매자((First-time buyers)의 시장 진입이 지연될 가능성 존재
2. 주택 가격 상승 및 주택 구매력
• 2025년 평균 주택가격: $1,147,000 예상 (2024년 대비 2.6% 상승, 물가상승률 수준)
• 단독주택, 반단독주택 및 타운하우스는 공급 부족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을 상회하는 가격 상승이 예상됨
• 반면, 높은 재고량 등 공급이 많은 콘도 시장에서는 가격이 안정세를 유지하거나 소폭 하락할 가능성이 큼
• 100만 달러 주택의 경우 연소득 필요액: 18만달러 이상이거나 추가 금리 인하(1.5%P 추가) 필요
• 2024년 말 기준 100만 달러 주택의 월 평균 모기지 상환액은 약 $4,800 이지만 주택 구매력 기준으로는 $4,150 수준이 이상적으로 봄
3. 금리 변화 및 경제 불확실성
• 2024년 기준 금리: 1.75%P 인하, 2025년에도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높음 (*2025년 1월말에 0.25%P 추가 인하)
• 높은 대출 비용이 2024년 주택 구매에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, 많은 구매자들이 시장에 진입하기 전에 추가적인 금리 인하를 기대하고 있음
•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(예: 캐나다 수출품에 대한 관세 부과 등)가 고용 시장과 소비자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이는 주택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
• GTA 노동 시장은 현재까지 비교적 안정적이지만, 고용 안정성과 임금 상승 여부가 2025년 주택 구매 수요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
4. 임대 시장 동향
• 높은 임대 수요 지속, 이유는 높은 이민자 유입 및 주택 구매 여력 부족
• 투자자 보유 신규 콘도 완공 증가로 인해 단기적으로 임대 주택 공급 확대 예상
• 임대료 수준은 여전히 높지만, 충분한 공급으로 인해 급격한 임대료 상승 가능성은 낮음
5. 신규 주택 및 분양 시장
• 2024년 신규 주택 분양 판매량: 전년 대비 47% 감소 (18,609건 → 9,816건)
• 특히 고층 주택(콘도) 분양 감소율: 63%
• 투자자들은 콘도 가격 상승 둔화, 높은 재고 수준 및 임대 상황 악화로 인해 여전히 주저
• 2024년 말 기준, 약 70,000개 유닛이 공사 중, 2025년에도 신규 주택 공급 지속
• 저층 주택(단독 및 타운하우스) 수요는 여전히 견고하나, 높은 대출 금리가 신규 개발에 대한 투자 위축
6. 시장 공급 및 매물 전망
• 신규 매물 증가로 인해 특히 콘도부문에서 가격 상승폭이 제한적일 가능성 높음
• 첫 주택 구매자는 다양한 선택지가 있는 콘도 시장에서 비교적 유리한 협상력을 가질 전망
• 정책 당국은 다양한 주택 공급 확대(예: 목적형 임대주택, 저렴한 주택 공급 정책)를 추진하여 장기적인 시장 안정성을 도모해야 함
2025년 시장 전망 및 결론
• 2025년 GTA 주택 시장은 거래 증가, 완만한 가격 상승, 지속적인 임대 수요와 함께 작년보다 나은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.
• 그러나 시장의 회복 속도는 추가 금리 인하, 경제 안정 및 소비자 신뢰도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. 특히 금리 인하가 가져오는 긍정적인 영향은 특히 무역 분쟁 등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
*** 이 글은 2025년 1월에 발표된 토론토지역부동산협회(TRREB)의 "2025년도 시장전망" 보고서를 정리한 것으로 우려했었던 외부 영향으로 1월 이후 급격히 저조해진 주택시장 상황과 다를 수 있습니다. ***